본문 바로가기
시사이슈

백신 종류와 코로나-19 바이러스 백신 화이자, 모더나, 아스트라제네카, 얀센의 특징 및 접종 유의사항, 사전예약

by Mynickname 2021. 6. 7.
반응형

백신의 종류

그동안 만들어진 전통적인 백신들은 질병 유발 능력을 약화시킨 살아있는 바이러스 자체를 역종 해서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력을 유도하는 생(生) 백신과 질병 유발 능력을 완전히 없앤 바이러스를 접종하여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력을 유도하는 사(死) 백신이 있습니다. 즉, 살아 있는 바이러스를 넣느냐, 죽은 바이러스 넣느냐에 따라서 생백신과 사백신으로 구분되고 이것이 지난 약 200여 년 간의 백신 제조법이었습니다. 이밖에도 독감 백신과 같이 특정 바이러스 단백질만을 이용하는 단백질 백신과 자궁 경부암 백신과 같이 바이러스 유사체를 이용한 백신이 있습니다.

 

이 두 가지 단백질 백신과 바이러스 유사체 이용 백신은 최근에 나온 백신 제조 기술이라고 합니다. 상기의 네 가지 백신들은 국내에서 생산이 가능하고 실제로 생산도 하고 있다고 합니다.

코로나-19 바이러스 백신입니다.
코로나-19 바이러스 백신

코로나-19 바이러스 백신

그러나 현재 유행 중인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제1차 세계대전 당시 전 세계로 퍼져 맹위를 떨쳤던 스페인 독감보다도 더 빠른 속도로 확산되어 전 세계적인 대유행을 하며 수많은 사람들이 죽고 엄청난 경제적 손실을 일으키고 있는 상태로 세계적인 제약 및 바이오 기업들은 코로나-19 백신을 최대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개발하기 위해 기존의 백신 개발 기술을 이용하거나 전혀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여 백신 제조에 나서고 있습니다.

 

이런 노력들의 결과로 화이자, 모더나, 아스트라제네카, 얀센 등의 다국적 제약회사에서 백신 개발에 성공하였으며 화이자와 모더나의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은 새로운 기술인 mRNA 기반의 백신이고 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 백신은 기존에 상용화된 기술인 아데노바이러스를 이용한 백신입니다. mRNA 백신은 세포 배양 없이 mRNA를 합성으로 만들어 내는 것으로 효과가 좋다는 장점이 있고 아데노바이러스 백신은 인체에 해가 없는 바이러스에 코로나 바이러스의 항체를 주입시켜서 세포를 배양하여 만드는 것으로 안정성이 비교적 좋다는 장점이 있고 국내 제약업체도 위탁 생산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국내에서 사용 가능한 코로나-19 바이러스 백신 4종(2021년 6월 기준)

화이자(Pfizer) 백신

  • 백신 종류 : mRNA
  • 접종 횟수 : 2회(3주 간격)
  • 임상 단계 : 임상 3상(임상 참여자 약 43,000여 명)
  • 보관 조건 : 영하 70도 냉동 보관
  • 백신 가격 : $20/도즈(1회 접종에 20,000원)

모더나(Moderna) 백신

  • 백신 종류 : mRNA
  • 접종 횟수 : 2회(4주 간격)
  • 임상 단계 : 임상 3상(임상 참여자 약 30,000여 명)
  • 보관 조건 : 영하 20도 냉동 보관
  • 백신 가격 : $32~$37/도즈(1회 접종에 37,000원)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 백신

  • 백신 종류 : 아데노바이러스 백신(바이러스 벡터 백신)
  • 접종 횟수 : 2회(12주 간격)
  • 임상 단계 : 임상 3상(임상 참여자 약 23,000여 명)
  • 보관 조건 : 2도~8도(냉장보관)
  • 백신 가격 : $4/도즈(1회 접종에 4,000원)

얀센(Janssen) 백신

  • 백신 종류 : 아데노바이러스 백신(바이러스 벡터 백신)
  • 접종 횟수 : 1회
  • 임상 단계 : 임상 3상(임상 참여자 약 44,000여 명)
  • 보관 조건 : 영하 25도~ 영하 15도(냉동보관)
  • 백신 가격 : $10/도즈(1회 접종에 10,000원)

코로나-19 바이러스 백신 접종 유의사항

모든 백신에서 가장 위험한 부작용은 주로 접종 후 30분 이내에 나타나는 급성 알레르기 반응이라고 합니다. 호흡곤란, 혈압 저하, 의식 불명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발생 시 신속히 처치를 받지 못하면 생명을 잃을 수 있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의 핵심 성분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이 이러한 부작용을 일으킨다는 건 이미 확인된 바 있다고 합니다. 이 물질은 대장 내시경용 장 세척제, 자외선 차단제, 치약, 진통 소염제에도 사용되는데 이런 물질에 쇼크 반응 있었던 사람은 주의해야 한다고 합니다.

 

이 외에도 접종자 수가 늘어나면 알려지지 않은 부작용도 더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접종 후 두통, 근육통, 발열, 피로감, 메스꺼움, 구토 등의 전신반응이 나타날 수 있고 30분간은 접종받은 기관에 머물며 이상반응을 살펴야 합니다. 귀가 후에도 적어도 3시간은 주의 깊게 더 관찰해야 하며 접종 부위는 청결을 유지하고 접종 후 최소 3일간은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관찰하여 만약 고열이나 평소와 다른 증상이 나타나면 바로 의사 진료를 받을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바이러스 백신 접종 예약

질병관리청 코로나 19 예방접종 사전예약 시스템

 

질병관리청 코로나 19 예방접종 전화예약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