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염물질과 식물
미세먼지와 황사도 심한데 최근 코로나-19까지 겹쳐 며칠을 환기도 제대로 못하고 집에서만 생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로 인해 실내 공기가 오염되기 쉬운 것도 걱정이지만 이를 들여 마셔야 하는 가족들의 걱정도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물론 공기청정기가 있다고는 하지만 늘어나는 전기요금에 살짝 부담스러운 것도 사실입니다. 이럴 때 공기정화 식물을 실내에 두면 관상용으로도 보기 좋아 1석 2조의 효과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식물의 잎은 공기 중 오염물질을 흡수하는데 미세먼지 등의 오염물질은 대부분 양이온을 방출하고 식물에서 방출된 음이온을 만나면 중화돼 없어지거나 땅으로 떨어지게 됩니다. 대부분의 식물은 어느 정도 공기정화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종류에 따라 특정 성분에 대해 더 우수한 제거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공기정화 식물은 하나만 두는 것보다 실내 곳곳에 여러 개 두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2019년에는 국내 유명 연구팀에서 공기정화 식물의 미세먼지 제거 능력과 습도와 온도의 영향에 대한 흥미로운 연구 결과를 저명한 환경 분야 저널에 발표하기도 했는데 실험 결과 식물의 정화 능력은 초미세먼지 제거에 크게 나타났고 특히, 빛이나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효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마냥 좋은 점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공기정화 식물을 집에 둘 때 주의해야 할 점은 일부 식물의 경우 독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어 반드시 구입처나 인터넷을 통해 확인해봐야 한다는 것입니다. 특히, 어린 아이나 반려동물이 식물의 잎을 먹지 않도록 유의해야 합니다.
인도 고무나무/드라세나 → 거실
넓은 면을 차지하는 벽지와 가구, 소파 등이 위치한 거실에 추천하는 식물입니다.
‘인도 고무나무’는 마치 코팅이 된 듯한 윤기가 나는 잎사귀를 가지고 있어 약간 이국적인 느낌이 납니다. 무엇보다 새집에서 많이 방출되는 포름알데히드를 빨아드리는 성질이 강하다고 하고 NASA가 발표한 공기정화 식물에 포함된 식물입니다. ‘드라세나’는 흰 줄무늬가 그려진 잎을 가지고 있고 유독물질을 흡착하고 특히, 유독물질 중에서도 1급 발암물질인 트리클로로 에틸렌 제거 효과가 뛰어나 역시 NASA가 선정한 공기정화 식물에 포함되었다고 합니다. 어두운 곳에서도 잘 자라는 특성이 있어 집이 북향으로 빛이 덜 드는 거실에도 좋을 것 같습니다. 드라세나의 경우 독성이 있어 반려동물 등이 잎을 먹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합니다.
스킨답서스/아이비 → 주방
가스렌즈를 자주 사용하고 생선과 고기를 굽는 등의 요리를 자주 하는 주방에는 일산화탄소를 잘 흡수하는 스킨답서스나 아이비를 추천합니다.
‘스킨답서스’는 노란 무늬가 불규칙적으로 들어간 잎을 가지고 있고 어두운 곳에서도 잘 자라는 식물로 초보자도 쉽게 키울 수 있습니다. 일산화탄소 제거 능력이 우수하지만 반려동물과 어린아이가 있는 집에서는 독성에 주의해야 한다고 합니다. ‘아이비’는 ‘헤데라 ‘라고 불리기도 하고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햇빛, 음지 구분 없이 잘 자라지만 여름철에는 햇빛에 1~2시간 노출해주면 좋다고 합니다. 새집증후군의 원인인 포름알데히드와 트리클로로 에틸렌 제거 효과가 우수합니다.
선인장/다육식물 → 침실
밤사이 이산화탄소가 많이 배출되는 침실에는 밤에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배출하는 선인장이나 다육식물이 효과적입니다.
‘선인장’은 척박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나는 식물로 강한 생존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야간에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광합성 작용을 하는 식물로도 알려져 있으며 실험 결과에서도 해가 짐과 동시에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기 시작하여 일출 시까지 대량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올해 4일 더 쉰다! 2021년 부터 모든 공휴일에 대한 대체 휴일 확대법 통과, 5인 미만 사업장 제외 (0) | 2021.06.16 |
---|---|
여름철 대표 가전으로 등극한 제습기 에어컨과 선풍기 판매량 앞서! 제습기 장점과 사용방법, 고르는 방법 (0) | 2021.06.15 |
일상의 활력과 기쁨을 주는 재미있는 기념일(Anniversary) 종류와 유래! 가족, 연인, 친구를 위한 기념일 선물 (1) | 2021.06.05 |
2021년 국가 전문자격 원서접수, 시험시행, 합격자발표 등 시험일정 (0) | 2021.06.03 |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내일채움공제, 청년 내일채움공제 제도 특징 및 비교 (0) | 2021.06.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