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통신

공공 SI프로젝트 품질관리계획수립과 품질관리 활동, 품질관리 도구

by Mynickname 2021. 5. 4.
반응형

프로젝트의 품질관리는 품질관리 계획 수립, 품질관리, 품질 통제 활동으로 구성된다. 이중 품질관리 계획 수립은 품질목표를 정의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품질관리 활동을 관리하고 통제하기 위한 계획을 세우는 것이다. 품질관리 목적은 제한된 시간과 자원을 고려하여 최선의 품질 수준을 달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고 품질관리계획은 생성되는 산출물에 대한 표준 프로세스 준수 여부, 산출물들의 적합성 및 타당성 여부 등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수행될 품질보증활동에 적용된다. 품질관리 계획을 수립한다는 것은 프로젝트 및 산출물에 대한 요구사항과 표준을 식별하고 프로젝트 팀이 식별된 요구사항과 표준을 준수한다는 것을 입증할 방법에 관해 문서화하는 것이다.

품질관리 계획 수립 참조 문서

품질관리 총괄 분야

  • 제안요청서 품질 요구사항, 계약서, 협상 내역서, 제안서
  • 전자정부사업 품질관리 매뉴얼(행정안전부, 한국정보화진흥원)

정보시스템 개발 분야

  • 행정기관 및 공공기관 정보시스템 구축 운영 지침(행정안전부)
  • 행정·공공기관 웹사이트 구축·운영 가이드
  • 전자정부 웹 사이트 UI/UX 가이드라인
  •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데이터 품질관리 분야

  • 공공기관의 데이터베이스 표준화 지침(행정안전부 고시)
  • 공공데이터 관리지침(행정안전부 고시)
  • 공공정보 품질관리 매뉴얼
  • 범정부 데이터 참조모형과 행정정보 데이터베이스 표준화 지침

정보보호 분야

  • 공공기관 소프트웨어 개발보안 가이드
  • 웹 보안지침
  •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기본지침, 시행규칙

품질관리 조직 역할 및 책임

발주기관

  • 품질 관련 요구사항 제시와 품질보증 계획 검토 및 합의
  • 최종 성과물에 대한 기대 수준의 명확화
  • 각종 활동과 산출물에 대한 품질 검토에 참여하여 사용자 검토의견 제시
  • 산출물에 대한 검사(확인) 및 인수 등

○ 외부 감리

  • 감리 계획 수립
  • 각 단계별 산출물에 대한 감리 수행 및 결과 보고
  • 감리수행 결과에 따른 지적사항에 대한 조치 점검

프로젝트 관리자

  • 품질 요구사항에 부합하는 품질기준의 제시
  • 품질관리 활동에 필요한 시간 및 자원의 공급
  • 각종 활동 및 산출물의 품질 검토 활동에 참여하여 관리자 검토의견 제시
  • 품질 관련 사용자의 변경 요청사항 전달

품질담당자

  • 품질목표 정의, 품질관리 활동과 산출물 작성의 표준 정의
  • 산출물 양식 및 템플리트, 산출물 검토 체크리스트 준비
  • 품질 관련 각종 검토회의 준비 및 운영, 결과 정리 등
  • 품질보증 계획서 작성 및 배포
  • 품질보증활동과 지적사항에 대한 조치 여부 검토

프로젝트 수행팀

  • 품질보증 계획서 작성 지원
  • 프로젝트 품질보증활동 수행
  • 테스트 수행 및 오류 조치
  • 외부 감리 수검 및 지적사항 조치(조치계획 수립, 조치 수행)

□ 품질관리 활동

품질 마인드 강화

  • 표준 수립 : 개발자 등 프로젝트 관련자 대상으로 산출물 작성 표준, 프로세스 수행 표준, 도구와 기법 표준 등에 대한 교육
  • 표준 제공 : 사업 관련 표준, 가이드, 지침 발굴 및 제공

○ 검토 활동

  • 단계별 자체 품질 검토 회의(분석 단계, 설계단계, 개발단계 품질 검토회의 등)
  • 단계별 산출물 합동 검토 회의(위탁기관, 유관기관, 발주기관, 사업자 참여)

○ 시험 활동

  • 단위 시험 : 프로그램 설명서에 정의된 바와 같이 각 단위 프로그램이 오류 없이 시행됨을 검증
  • 통합 시험 : 업무처리 적합성, 시스템 간 연계 기능, 업무 흐름 절차와의 일치 여부 등을 검증
  • 성능 시험 : 시스템 과부하 시 최대 성능과 부족자원, 동시 사용자 수, 응답속도 등 검증
  • 사용자 시험 : 자체 검토가 완료된 시스템에 대해 사용자 관점에서의 기능성, 안정성, 편리성 등을 검증

○ 결함 관리

  • 결함 식별 활동 : 결함 대장(식별된 결함 리스트, 식별된 결함정보) 및 결함 내역
  • 결함 조치 활동 : 결함 대장(조치된 결함 리스트, 조치 정보) 및 조치내역(조치내용, 고려사항 등)

○ 변경 통제

  • 변경 식별 활동 : 변경관리대장(식별된 변경 리스트, 식별된 변경 요청사항) 및 변경 요청내역(변경 요청 상세 내용, 소요자원, 영향평가 등)
  • 변경 통제 활동 : 변경관리대장(해결된 변경 리스트, 변경조치내역)

보고

  • 주간보고 : 주간 품질관리 활동 결과, 위험 및 이슈 보고
  • 월간보고 : 월간 품질관리 활동 결과, 위험 및 이슈 보고

품질관리 도구(Tool)

○ 진척 관리

  • 프로젝트 WBS 관리
  • 일정 및 진척상황 관리
  • 작업별 담당자 및 자원관리

형상관리

  • 파일의 변경 이력을 관리(소스코드, 문서)
  • 다양한 버전의 개발 작업 지원
  • 코딩 작업 중 예상하지 못한 문제를 방지

DB설계

  • GUI 기반의 정보 요구사항 분석
  • 데이터 모델링
  • DB 테이블 및 인덱스 설계
  • DB 스키마 생성

성능시험

  • 웹 사이트 접속 가능 테스트
  • 부하 테스트
  • Response 테스트
  • 테스트 레코딩, 디버깅

성능 모니터링

  • 트랜젝션 전 과정 모니터링
  • 개별 트랜젝션 분석 및 문제 원인 파악
  • 성능관리 보고서 제공

취약점 진단

  • 소프트웨어 개발보안 준수 여부 점검
  • 국내외 표준 웹 취약점 점검

웹 접근성 진단

  •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0 준수 여부 점검
반응형

댓글